구문 분석 (6)
구문 분석 (6)
동격 / 이동 어순(도치) / 관계사
Movies were first seen as an exceptionally potent kind of illusionist theatre, the rectangle of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proscenium of a stage, on which appear actors.
→ 영화는 처음에 마술사가 연극하는 극장의 한 형태로 여겨지는 정도에 그쳤다. 그 극장은 배우가 나타나는 무대의 앞 부분에 대응되는 네모난 스크린을 말한다.
위 문장은 여러 가지 문법 요소가 있기 때문에, 그 요소에 맞추어 이해하여 보자.
[동격] 위 문장에서 theatre과 그 뒤에 동반한 the ractangle of the scree는 동격을 이룬다. 또, 그 뒤에 나타나는 형용사구 corresponding to the proscenium of a stage는 명사 screen을 수식한다. (여기서, 'theatre'는 'theatre'(미국식)의 영국식 표현이다.)
[이동 어순(도치)] 위 문장에서 on which가 이끄는 부사절은 'appear actors'는 'actors appear'라는 문장에서 주어와 동사가 도치된 형태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주어와 목적어가 바뀐 것은 글쓴이가 읽는이로 하여금 그 부분에 주목하게 하는 효과가 있고, 종종 그 과정에서 화제를 전환한다.
[관계사] 위의 문장에서 관계부사 on which(=where)의 위치에 관계대명사 which가 아니라 관계대명사가 왔는지도 중요한 문제이다. 먼저, 관계대명사가 될려면 그 관계사가 이끄는 절에 선행사를 삽입할 수 있는 위치가 있어야 한다. 그런데 appear는 자동사이기 때문에 선행사가 들어갈 수 있는 자리가 없다.
한편, appear는 'Smoke appeared on the horizon.'와 같이 'appear (somewhere)'와 같이 사용되기 때문에, 위 문장에서 'actors appear on the screen'과 같은 형태를 맞추기 위해서 관계부사가 와야 한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