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법/문장 성분

목적격 보어 (1)

by IamUno 2012. 2. 25.
반응형

목적격 보어 (1)
목적격 보어라는 것을 어떻게 확인하는가?

1. I make him go home.
 나는 그로 하여금 집에 가게 하였다.

2. Yet people do still make a journey to see Leonardo's original painting in the Louvre.
 하지만 사람들은 아직도 루브르 박물관에 있는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원작을 보기 위해서 간다.  


 보어(complement)는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의미를 '보충'해주는 기능을 한다. 보어는 보충해주는 말이 무엇인지에 따라서 주어의 의미를 보충해주는 '주격 보어'와 목적어의 의미를 보충해주는 '목적격 보어'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에서 특히 주절의 동사가 make, have, let과 같은 '사역동사'이고 목적격 보어로 'to 부정사'를 취할 경우에는 '원형 부정사'로 갈음한다는 중요한 원칙이 있다. 이 용법에 알맞게 영어를 구사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것이 목적격 보어가 맞는지 구분하는 개념이 정확히 서야 한다.

 위의 1번 문장에 'go home'은 to가 생략된 원형 부정사로 목적격 보어가 맞지만, 2번 문장의 'to see ~'는 목적을 의미하는 to 부정사이다. 외관상으로는 모두 'make + 목적어 + 준동사'의 형태로 같지만, 1번은 목적격 보어이고 2번은 목적격 보어가 아니다.

 이것을 구분하는 기준은  
'보어'의 정의에 충실해서, '목적어를 수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면 된다. 즉, 1번 문장의 경우 목적어인 'him'이 'go home'는 사실을 보충하고 있어서 '수식'하고 있다. 반면, 2번 문장의 경우 'a journey'가 'to see ~'한다는 사실을 보충한다고 보기에는 어색하다.

 이와 같이, 목적격 보어인지 확인해서는 목적격 보어가 실제로 목적어를 수식하는지 확인하면 된다. 나아가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가 어떤 관계에 있는지에 따라서 목적격 보어가 어떤 형태로 오는지를 확인 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반응형

'문법 > 문장 성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적격 보어 (1)  (0) 2012.06.1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