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문

구문 분석 (1)

by IamUno 2012. 7. 5.
반응형

구문 분석 (1)

동사가 여러 층위로 나타난 경우

 (원문) Being a powerful, free individual actually means being able to demand an economic system that respects, rather than exploits, workers and the environment, not being able to choose between an infinite number of coffee flavors and styles.


 (분석) Being a powerful, free individual actually means being able to demand an economic system that respects, rather than exploits, workers and the environment, not being able to choose between an infinite number of coffee flavors and styles.


 → 힘이 있고, 자유로운 주체가 된다는 것은 무수히 많은 숫자의 커피의 향과 종류 사이에서 고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을 의미 하는 것이 아니라, 경제 체제에게 노동자와 환경을 착취하지 않고 존중하다록 요구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위 문장이 독해하기 어려운 것은 여러 층위의 동사가 나타났다는 것이다. 주어에 대한 동사로는 means가 나타났고 그것의 목적어로 분사구문 being able tonot A but B 구문으로 제시되었기 때문이다. 그 뿐만 아니라 그것의 목적어를 수식하는 관계대명사가 제시되어서 그 속에 동사 respect와 그것에 대응하는 삽입구 rather than exploits가 있었다.


 이와 같이, 3단계의 층위로 이루어진 문장이기 때문에 독해하기 어려웠다. 그런데 같은 문법적인 기능을 하는 동사가 무엇인지 생각하면서 독해를 했다면 이해하기 쉬운 구문이었다.



* * *

반응형

'구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문 분석 (5)  (0) 2012.09.29
구문 분석 (4)  (0) 2012.09.25
구문 분석 (3)  (0) 2012.09.21
구문 분석 (2)  (0) 2012.08.2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