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54

전치사구 (1) 전치사구 (1)전치사구는 왜 사용하는가? The swan flies with grace.그 백조는 우아하게 날았다. 우리나라 사람이 '전치사'의 개념을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는 우리말에 '전치사'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말의 '조사'는 '후치사'로 해석할 여지가 있고, 말에서 전치사와 후치사가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난다는 사실을 안다면 '전치사'를 보다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다. 위 문장은 전치사가 사용된 간단한 예문 중에 하나이다. 전치사는 'preposition'을 번역한 것으로, '앞에 둔다.'라는 뜻을 가진다. 그렇기 때문에 전치사는 일반적으로 그것의 목적어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위의 예문에서도 전치사 with는 그것의 목적어로 'grace'를 동반하여, '전치사구'를 이루었음을.. 2012. 5. 28.
목적격 보어 (1) 목적격 보어 (1) 목적격 보어라는 것을 어떻게 확인하는가? 1. I make him go home. 나는 그로 하여금 집에 가게 하였다. 2. Yet people do still make a journey to see Leonardo's original painting in the Louvre. 하지만 사람들은 아직도 루브르 박물관에 있는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원작을 보기 위해서 간다. 보어(complement)는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의미를 '보충'해주는 기능을 한다. 보어는 보충해주는 말이 무엇인지에 따라서 주어의 의미를 보충해주는 '주격 보어'와 목적어의 의미를 보충해주는 '목적격 보어'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에서 특히 주절의 동사가 make, have, let과 같은 '사역동사'이고 목적격 .. 2012. 2. 25.
cold Cold [U] 추위, [C] 감기 'cold'는 흔히 형용사로 '추운'이라는 뜻으로 쓰이고, 명사로 '추위'나 '감기'의 뜻으로도 쓰인다. 이 때, 'What are you doing in a cold?'와 같이, '추위'의 뜻으로 쓰일 경우에는 불가산명사로 대개 'the cold'와 같은 형식으로 쓰인다. 반면, 'to catch a cold'와 같이, '감기'의 뜻으로 쓰일 경우에는 가산명사로 'a cold'와 같이 쓰인다. (사전에 의하면, 드물게 'the common cold'와 같이, '감기'의 뜻이지만 정관사 'the'를 쓰는 경우도 있다.) 2012. 2. 7.
change Change [C , U] ~ (in/to sth) 변화, [U] 동전, 잔돈 'change'가 명사로 사용될 경우, '변화, 잔돈' 외에도 다양한 용례로 사용된다. 그런데 흔히 '변화'라는 의미를 쓰일 때 추상적인 의미라서 '불가산 명사'이고, '동전, 잔돈'일 경우 구체적인 의미라서 '가산 명사'로 쓰일 것 같다. 하지만 실제로는 'a change in the weather(날씨에 있어서의 변화)'와 같이, '변화'라는 의미일 때에 가산명사로 쓰이고, 'The ticket machine gives change.(그 티켓 발매기에서 거스름돈이 나온다.)'와 같이, '잔돈(거스름돈)'일 때에는 불가산명사로 쓰인다. ('변화'의 의미일 경우에는 가산명사, 불가산명사가 모두 가능하다.) 2012. 2. 6.